[진화101] 3-5. 트리 만들기 트리 만들기 가계도와 같이 계통수도 조상에 대한 패턴을 나타냅니다. 가계도는 가족들이 종이에 적어서 가족의 역사를 보여줄 수는 있지만, 자연에서의 종(species)은 자신의 가계도를 기록하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생물학자들이 대신해서 증거들을 모으고 분석하여 계통의 역사를 쓰고 .. 식물미생물/Evolution 101 2014.02.27
[진화101] 3-4. 사다리구조가 아니라 트리구조 사다리 구조가 아니라 트리 구조 (Trees, not ladders) 과거에 여러번 생물학자들은 생물을 하등 동물에서 고등 동물로 사다리 처럼 구성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는 실수를 범 했었습니다. 이런 생각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존재의 대사슬(Aristotle's Great Chain of Being)에서 볼 수 있습니다. 이와 .. 식물미생물/Evolution 101 2014.02.27
곰팡이의 타임트리 (The Timetree of Fungi) 곰팡이의 타임트리 (The Timetree of Fungi) 진균계(곰팡이들)의 멤버들은 전지구적인 영양소 순환과 다른 생물들과의 공생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들은 균근으로서 식물과 아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습니다. 그리고 lignin의 주요 분해자 입니다. 곰팡이들은 후생동물아계(Metazoa)의 .. 식물미생물/Fungi 2014.02.24
[진화] 계통학을 표현하는 Newick Tree Format The Newick Tree Format 이 글은 http://evolution.genetics.washington.edu/phylip/newicktree.html 에서 발췌 번역한 것 입니다. 소 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trees를 대표하는 형식인 Newick Standard는 1857년 영국의 유명한 수학자 Arthur Cayley가 고안하였고, trees에 나오는 인자들과 중접된 괄호를 사용합니다. 만약에 .. 생물정보학/Bioinformatics 2014.0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