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웨딩] 차지연웨딩 2018 S/S컬렉션 드레스초대전 저의 예쁜 신부될 사람 에밀리님이랑 인천의 명품웨딩샵 차지연웨딩의 2018 S/S컬렉션 드레스 초대전에 초대되어 다녀왔습니다~! 오늘의 런웨이 입니다~! 우리 에밀리케이든커플을 포함한 결혼을 하실 예비 신랑 신부님들이 많이 오셨어요. 이쁜 황금색 용지에 각 드레스에 대한 설명이 쓰.. 취미기타/Scribbles 2018.02.07
유전적 다양성의 비교를 통해 자연선택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을까요? 유전적 다양성의 비교를 통해 자연선택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을까요? 예를 들어 중립적 마커(neutral maker)에 낮은 핵산 다양성과 하플로타입 다양성을 갖는 집단들은 대게 강한 선택압 아래 있습니다. 약한 선택압 아래에선, 이들의 유전적 다양성은 높을 것 입니다. 유전적 다양성은 .. 생물정보학/Genomics 2017.11.28
엑셀에서 버블 그리드 차트 그리기 http://chartartistry.blogspot.kr/2016/02/building-bubble-grid-charts-in-in-excel.html 생물정보학/Useful PAGEs 2017.09.11
How to remove particular species from nr db of NCBI? https://www.researchgate.net/post/How_to_remove_particular_species_from_nr_db_of_NCBI 생물정보학/Useful PAGEs 2017.08.09
계통발생층서법으로 동물 계통의 주요 적응에 대한 유전체적 역사를 밝힘 계통발생층서법으로 동물 계통의 주요 적응에 대한 유전체적 역사를 밝힘 초록 대진화적 경향 연구 방법: 화석 분석, 비교 형태학, 진화 발생(evo-devo) 방법 등이 있다. 다양한 계통의 유전체가 사용 가능해짐에 따라 계통발생층서법이라는 새로운 접근 방법이 사용가능 해졌다. 초파리의 .. 생물정보학/Genomics 2017.07.29
비병원성 유전자의 기능 이해에 대한 전망 (White et al., 2000) 이 글은 2000년에 White et al.에 의해 쓰여진 리뷰 논문을 번역한 것 입니다. 무려 17년 전 당시에는 비병원성 유전자에 대하여 어떻게 생각 했나 볼 수 있습니다. 비병원성 유전자의 기능 이해에 대한 전망 (Prospects for understanding avirulence gene function) 병원균의 비병원성 유전자는 기주식물의 저.. 식물미생물/Plant Pathology 2017.07.24
[퍼온글] 병저항성 획득을 위한 또다른 시각 오늘의 논문은 2016년 2월에 Science에 게재된 "Using decoys to expand the recognition specificity of a plant disease resistance protein" 으로 한국인 Sang Hee Kim이 당당하게 1저자로 올라와있다. 논문을 시작하기 앞서 background를 잠깐 설명하자면, 식물의 경우, 동물과 달리 특수한 면역 세포가 없기 때문에, 세포 .. 식물미생물/Plant Pathology 2017.07.20
유전체 계통발생층서법 (Genomic phylostratigraphy) 유전체 계통발생층서법 (Genomic phylostratigraphy) 유전체학 공부를 하다보니 Genomic phylostratigraphy 분석이란 것을 접하게 되었습니다. 일단 이게 무엇인지 궁금하여 하나씩 어원을 따져보기로 하였습니다. Genomic 유전체적 Phylo- 계통발생학, Strati- layer 층, -graphy 기술방법, Stratigraphy: 층서학 - 지.. 생물정보학/Bioinformatics 2017.07.19
유전자 대 유전자 가설 (Gene-for-gene hypothesis) 유전자 대 유전자 가설 (Gene-for-gene hypothesis) 유전자 대 유전자 가설 (Gene-for-gene hypothesis) 또는 유전자 대 유전자 관계 (Gene-for-gene relationship)은 아마(Linum usitatissimum)의 녹병균(Melampsora lini)을 연구하던 학자 Harold Henry Flor에 의해 처음 제시되었습니다. 그는 기주 식물의 저항성과 병원균의 병.. 식물미생물/Plant Pathology 2017.07.18